하드디스크/USB/SSD

하드디스크/USB/SSD 데이터 복구를 안내해 드립니다.

하드디스크

USB

SSD

플래시메모리

USB/SD카드

USB: USB 메모리는 가지고 다니기도 편하고 조작방법도 간다한 이동식 기억장치입니다. 컴퓨터의 USB 단지에 연결만 하면
파일을 옮기거나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입니다.
SD카트: 우표 크기의 플래시 메모리 카드, 매우 안정적이고 높은 저장 능력을 갖고 있으며, 디지털 제품에 사용 됩니다.

데이터 손실 유형 및 증상

파일 및 폴더 삭제, 포멧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 파일, 폴더를 삭제하거나 포멧한 경우

파손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 메모리가 파손된 경우

인식불가, 용량 잘못 표기, 메모리 초기화

컨트롤러 및 메모리 불량으로 인해 오류가 발생한 경우

SSD

반도체를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입니다.
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 비하여 속도가 빠르고 기계적 지연이나 실패율, 발열, 소음도 적으며,
소형화. 경량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데이터 손실 유형 및 증상

파일삭제, 파티션손상, 포멧, 바이러스 OS재설치

사용자의 실수로 파일을 삭제, OS재설치, 바이러스로 인해 데이터가 사라지고 접근 불가 등으로 오류가 발생한 경우

인식불가

전기적 영향, 소지 및 펌웨어 손상등으로 인해 인식이 안되는 경우

외장하드

하드디스크를 컴퓨터 외부에서 사용하는 장치로 휴대성이 뛰어납니다.
확장성이 떨어지 HDD 업그레이드가 힘든 컴퓨터 사용자들에게 유용합니다.
사용목적에 맟게 휴대성을 중시하면 2.5인치, 자료 백업을 우선시 하면 3.5인치를 선택하는것이 좋습니다.

데이터 손실 유형 및 증상

파일삭제

실수로 파일을 삭제한 경우 원본 디스크에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하니 않았다면 복구 가능

파손

OS재설치, 파티션 조절, 파일시스템 변경 등 파티션을 포멧한 경우

OS재설치

데이터 백업 없이 OS를 재설치 한 경우

바이러스

파일 및 폴더가 사라지거나 데이터 접근이 불가한 경우

삭제, 포맷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 삭제 및 포맷한 경우

인식 불가

디스크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 진동, 공기저항 등으로 발생하는 경우이며 원이이 다양함

충격/소음

하드디스크 충격으로 인한 인식 불가 또는 하드디스크 내부의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

베터섹터(CRC오류)

하드디스크 사용 중 CRC오류가 발생한 경우

인식 속도 저하

하드디스크 연결 후 PC 사용시 속도가 느린 경우

하드디스크

하드디스크는 자성제를 입힌 원핀형 알루미눔 기판을 회전시키면서 자료를 저장하고 읽어 내도록 한 보조기억장치이다.
디스크가 레코드판처럼 겹쳐져 있는 것으로 디스크 위에는 트랙이라고 하는 동심원이 그려져 있다.
이 동심원 안에 데이터를 전자적으로 기록하게 된다. 헤드는 트랙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읽어 내는 역활을 한다.

데이터 손실 유형 및 증상

파일 및 디렉터리 손상

파일 시스템 손상으로 발생하는 오류이며 손상 원인이 다양함

파일삭제

사용자의 실수로 데이터를 삭제한 경우

포멧 메세지

Boot Code 손상으로 인해 사용 중 포멧 메세지가 나오는 경우

엑세스 불가

바이러스, 파일시스템 손상, OS에러로 인해 엑세스 불가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

인식불가

디스크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 진동, 공기저항 등으로 발생한 경우이며 원인이 다양함

충격/소음

외장하드 충격으로 인한 불가 또는 하드디스크 내부의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

USB(불만 깜빡이는 경우)

연결시 PC에서 연결 메세지와 함께 외장하드에 불은 들어오나 USB커넥터 또는 PC포트 불량,모듈 손상으로 인식 불가인경우

베드섹터(CRC오류)

하드디스크 연결 후 PC 사용시 속도가 느린 경우

바이러스로 인한손상
실수로 인한 포맷
충격으로 인한 손상
읽고 쓰기 능력이 유연하기 떄문에 수명에 의한 장애도 발생

소프트웨어적인 장애 증상시

절대 복구된 자료의 확인 전까지는 원본 손상을 해서는 안됩니다.

하드웨어적인 장애 증상시

배드섹터가 있는 경우 무리하게 하드디스크에 계속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배드섹터가 전체영역으로 급속히 퍼지게 되며 이는 복구시기를 놓치는 주요한 원인이 됩니다. 하드디스크가 속도가 늦어지거나 데이터접근시 멈춤 현상이 있는 경우에는 배드섹터일 가능성이 높음으로 전문복구업체에 의뢰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하드웨어적 손상(물리적손상)

1.인식불가
2.하드디스크에서 긁히는 소리나 탁탁 치는 소리가 날 경우
3.하드디스크가 전혀 구동을 안하는 경우
4.정상적인 구동 소리는 들리나 인식이 안되는 경우
5.하드디스크가 물에 빠진 경우
6.인식은 되나 물리적인 Bad sector 가 발생한 경우

소프트웨어적 손상(논리적손상)

1. 파일 시스템 손상
2. 포맷
3. 삭제
4. 덮어쓰기
5. 시스템 복원(복원시점)
6. CHKDSK/FSCK실행
7. 파일에러
8. 암호복구

위로 스크롤